내연기관 자동차에서는 연료로 휘발유나 경유를 넣듯이 전기차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배터리 충전이 필요하다. 스마트폰도 그렇지만 전기차를 인도받았을 때 차량의 배터리가 완충되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전기차를 충전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있어야 전기차를 이용하는데 불편함이 없을 것이다.
전기차를 처음 사용하는 경우 불편함이 없도록 인도받는 시점에서 기본적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들을 알아보자.
1. 환경부 공공충전인프라 멤버쉽카드 (환경부 회원카드) 신청
환경부 공공충전인프라 멤버쉽카드 (환경부 회원카드) 란?
- 정부에서 운영하는 전기차 충전소를 이용하기 위해 충전 시 이용하는 카드
환경부 회원카드를 신청해야 하는 이유
- 여러 사업자의 충전기 이용시 환경부 회원카드를 이용하여 충전을 하는 것이 충전비용이 가장 저렴하다.
전기차를 충전하는 방법은 전기차 충전기 사업자에 회원가입하여 회원카드 발급 후 결제수단을 등록하고 충전을 하는 것이다. 전기차 충전기 사업은 공공, 지자체, 민간 등 굉장히 많은 업체들이 운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충전기 사업자의 회원카드를 발급받는 것은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사업자 간에 로밍이라는 형태로 다른 사업자의 카드로도 충전기를 사용할 수 있게 해 놓았다. 하지만 다른 회원이 충전기를 사용하였을 경우 더 비싼 충전요금이 부과된다.
환경부 회원카드는 어느 사업자의 충전기를 이용하여도 모두 동일한 요금을 부과하고 로밍요금이 가장 저렴하기 때문에 전기차 구입 시 필수적으로 신청한다.
환경부 회원카드 신청방법
1) 저공해차 통합누리집 홈페이지 회원가입 바로가기 <<<
2) 회원카드 신청 선택
3) 추가정보 입력 : 차량 종류, 차량 모델, 차량번호, 발급 요청 사유 선택, 배송지 번호 입력
(실물카드가 도착하는 데는 3~4일 정도 소요되며 실물 카드가 없더라도 회원번호를 이용하여 충전이 가능하다.)
저공해차 통합누리집 홈페이지 :
한국 자동차환경협회에서 운영하는 전기차 소개와 저공해차 구매 보조금, 혜택, 충전소 위치 등 전기차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
자동차환경협회 :
환경부에서 위탁받아 배출가스 저감사업과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해 전기자동차 및 수소자동차 공공충전시설 설치 및 운영을 하는 민간업체.
2. 메인충전기 회원카드 신청
전기차 충전을 가장 저렴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은 내가 사용하고자 하는 충전기 사업자의 회원카드로 충전을 하는 것이다. 내 주변에 이용하기 가장 편리한 충전소 위치를 확인한 후 충전기 사업자를 확인하여 회원카드 신청을 한다. 단독주택에 살고 있고 충전기 설치와 주차가 가능하다면 개인용 충전기 설치 시 요금이 저렴하기 때문에 고려해볼 만하다.
전기차 충전기를 운영하는 운영기관
1) 한국자동차환경협회 (환경부)
2) 한국전력공사 (캡코플러스)
3) 기아자동차
4) 대영채비
5) 매니지온
6) 보타리에너지
7) 스타코프
8) 삼성EVC
9) 시그넷
10) 에버온
11) 에스트래픽
12) 이엔
13) 이카플러스
14) 제이앤씨플랜
15) 제주전기자동차서비스
16) 지엔텔
17) 차지비
18) 차지인
19) 클린일렉스
20) 타디스테크놀로지
21) 파워큐브
22) 한국전기차인프라기술
23) 한국전기차충전서비스
24) 한국컴퓨터
25) 현대자동차
26) 휴맥스이브이
27) CJ대한통운
28) GS칼텍스
29) evMost
30) LG헬로비전
31) SK에너지
32) 기타 자치단체 등
3. 전기차 충전할인 신용카드 발급
전기차 회원카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신용카드를 결제수단으로 등록하여야 사용이 가능하다. 물론 일반 신용카드도 등록이 가능하지만 주유할인카드와 같이 전기 충전요금을 할인해주는 신용카드가 있기 때문에 이용 시 충전요금을 할인받을 수 있다.
전기차 충전할때 할인되는 신용카드 11종
전기차를 구매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휘발유나 경유의 절반도 안 되는 저렴한 충전요금과 자동차 세금 등 유지비가 저렴하기 때문이 대부분일 것이다. 더군다나 전기요금이 단계적
전기차 충전요금 할인 신용카드 종류
1) 신한카드 - 신한카드 EV, 알뜰교통 신한카드, 신한카드 MY CAR
2) 현대카드 - Kia RED Members
3) KB카드 - EVO 티타늄카드
4) 우리카드 - 카드의정석 US, 맑은우리카드, ALL다모아카드, OK캐쉬백 위비할인카드, WON DISCOUNT AIR, WON POINT AIR
>>> 전기차 충전할 때 할인되는 신용카드 11종
4. 저공해자동차 스티커 발급
전기차는 1종 저공해자동차로 분류되어 공영주차장 요금 50%를 할인받을 수 있다. 신차 구매 시에는 카마스터님께서 모두 발급받아 전달해 주시는 게 일반적임.
저공해자동차란 대기오염물질의 배출이 없는 자동차 또는 배출허용기준보다 오염물질을 적게 배출하는 자동차를 말한다. 저공해차는 1종 저공해 자동차, 2종 저공해 자동차, 3종 저공해 자동차 이렇게 3개의 등급으로 구분되는데 저공해자동차 스티커를 부착한 자동차는 공영주차장 요금 50%와 터널 혼잡료 등을 면제받을 수 있다.
저공해자동차 분류
1) 1종 저공해 자동차 - 전기차와 수소 전기차로 대기오염물질을 전혀 배출하지 않는 차
2) 2종 저공해 자동차 - 하이브리드 및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3) 3종 저공해 자동차 - 가솔린, LPG, CNG차 중 환경부령이 정한 배출허용 기준을 충족하는 차로 일산화탄소 0.625g/km 이하 질소산화물/탄화수소 0.0196g/km 이하, 대형 세단도 배출허용기준 이하면 저공해차로 구분될 수 있음.
저공해자동차 스티커 발급방법
1) 거주지 관할 구청 방문 (지역에 따라 차량등록 사업소에 진행하는 곳도 있음)
2) 자동차 등록창구 방문
3) 자동차등록증 및 신분증 제출
4) 저공해자동차 스티커 수령
5. 고속도로 통행료 50% 할인 등록
전기차는 한국 도로공사 영업소에서 하이패스 등록 후 2022년 12월까지 고속도로 통행료 50%를 할인받을 수 있다.
전기, 수소차 보급 확대 및 미세먼지 저감 등을 위해 하이패스를 장착한 전기차와 수소차에 한하여 한시적으로 고속도로 통행료를 50% 할인해주고 있다. 시행일자는 2017년 09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였으나 2년 연장하여 2022년 12월까지 할인을 해주고 있다.
하이패스 50% 할인 등록방법
1) 한국 도로공사 영업소 방문 (준비물 : 차량등록증)
2) 간단한 서류작성
3) 하이패스 OBU 발급 카드 접수
4) 하이패스 단말기 삽입 > 하이패스센터 단말기 삽입 (3회 반복)
5) 등록 완료
전기차는 친환경적인 차량이기 때문에 정부에서도 사용을 장려하고 있으며 세계적인 추세이기도 하다. 지금은 이런 혜택들이 있지만 갈수록 전기차가 보편화되면 전기차 보조금을 비롯해서 혜택들도 줄어들 것이다. 위에서 알아보았던 내용은 기본적인 것이기 때문에 모두 준비하여 전기차 사용에 불편함이 없길 바란다.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조금24로 지원금 신청과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 한번에 확인하는 방법 (0) | 2021.04.29 |
---|---|
전기차 충전할때 할인되는 신용카드 11종 (0) | 2021.04.25 |
Electric Mobility Hyundai IONIQ5 Exterior & Interior Colors (0) | 2021.04.22 |
1등급 가전제품 구입하고 30만원 환급 받는 방법 [2021년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 (0) | 2021.04.20 |
안양시 공유 자전거 "에브리바이크" 사용 방법 (0) | 2021.04.19 |
댓글